예배의 자세
페이지 정보

본문
에스라 3:1-7
1 이스라엘 자손이 각자의 성읍에 살았더니 일곱째 달에 이르러 일제히 예루살렘에 모인지라
2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그의 형제 제사장들과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과 그의 형제들이 다 일어나 이스라엘 하나님의 제단을 만들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 대로 번제를 그 위에서 드리려 할새
3 무리가 모든 나라 백성을 두려워하여 제단을 그 터에 세우고 그 위에서 아침 저녁으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며
4 기록된 규례대로 초막절을 지켜 번제를 매일 정수대로 날마다 드리고
5 그 후에는 항상 드리는 번제와 초하루와 여호와의 모든 거룩한 절기의 번제와 사람이 여호와께 기쁘게 드리는 예물을 드리되
6 일곱째 달 초하루부터 비로소 여호와께 번제를 드렸으나 그 때에 여호와의 성전 지대는 미처 놓지 못한지라
7 이에 석수와 목수에게 돈을 주고 또 시돈 사람과 두로 사람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기름을 주고 바사 왕 고레스의 명령대로 백향목을 레바논에서 욥바 해변까지 운송하게 하였더라
1 이스라엘 자손이 각자의 성읍에 살았더니 일곱째 달에 이르러 일제히 예루살렘에 모인지라
포로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돌아온지 7개월 후에야 예루살렘에 모인 것으로 착각하게 본문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실은 일곱째 달, 양력으로 대략 10월로서 초막절을 앞두고 귀환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모인 것입니다.
이스라엘에 도착하고서 7개월 동안 미적거린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번역입니다.
7월 즈음에 도착하자마자 초막절을 위해 바로 예루살렘에 모였던 것입니다.
2천 킬로미터의 길고도 고된 귀환여정을 마치자 마자 초막절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모인 이스라엘 백성들의 열정을 한 번더 증명해주는 단어가 1절의 '일제히' 입니다.
'즉시' 와 '일제히' 로 요약되는 이들의 예배를 향한 열정을 보면서 우리의 예배를 향한 자세를 돌아봐야 할 것입니다.
'가장 먼저' 와 '일제히'는 예배를 향한 우리의 마음의 자세를 보여줍니다.
예배를 삶의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두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단기간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쌓이고 쌓인 후에는 반드시 드러나게 되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진심을 보십니다.
마지못해 드리는 예배와 '가장 먼저' 와 '일제히' 드리는 예배 중에서 어떤 예배를 받으실지 물어볼 필요도 없습니다.
두 번째로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예배는 '말씀대로' 드리는 예배입니다.
2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그의 형제 제사장들과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과 그의 형제들이 다 일어나 이스라엘 하나님의 제단을 만들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 대로 번제를 그 위에서 드리려 할새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 대로' 번제를 드릴 때 하나님께서는 그 예배를 받아주십니다.
예배는 하나님을 향한 진심의 표현임과 동시에 '순종'의 표현입니다.
예배를 하나님의 말씀대로 드리는 사람은 삶도 하나님의 말씀대로 삽니다.
3 무리가 모든 나라 백성을 두려워하여 제단을 그 터에 세우고 그 위에서 아침 저녁으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며
3절의 문맥에 맞는 번역은 무리가 모든 나라 백성들 두려워하여가 아니라 두려워했지만 입니다.
이들이 이스라엘에 도착했을 때 이스라엘에는 이미 여러 나라 백성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습니다.
70년 만에 돌아온 고향 땅이지만 그 사이에 다른 나라 백성들이 자리를 잡아 주인행세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에 자리잡은 이방인들은 페르시아 고레스 왕의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건들지말라는 명령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지켜보고는 있지만 이 두 집단 사이의 갈등은 언젠가는 터지고마는 시한폭탄이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예배드리는 것 자체가 주변 이방인들과 갈등의 소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들과 타협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예배드렸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예배드리는 사람이 하나님의 말씀대로 산다고 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산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본문의 이방세력의 반대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산다는 것은 돈을 숭배하는 사람들과 쾌락의 노예들과 반드시 갈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산다는 것은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아무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사는 사람을 하나님께서 반드시 축복하십니다.
1차 포로귀환자들의 이러한 믿음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예루살렘 성전의 건축을 허락하셨습니다.
6 일곱째 달 초하루부터 비로소 여호와께 번제를 드렸으나 그 때에 여호와의 성전 지대는 미처 놓지 못한지라
번제단은 만들었지만 아직 성전은 고사하고 성전 지대, 즉 성전의 기초조차 놓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7 이에 석수와 목수에게 돈을 주고 또 시돈 사람과 두로 사람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기름을 주고 바사 왕 고레스의 명령대로 백향목을 레바논에서 욥바 해변까지 운송하게 하였더라
하나님께서는 페르시아 고레스 왕을 통해 레바논의 백향목을 공수하여 성전 건축을 시작하게 하셨습니다.
8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에 이른 지 이 년 둘째 달에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과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다른 형제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무릇 사로잡혔다가 예루살렘에 돌아온 자들이 공사를 시작하고 이십 세 이상의 레위 사람들을 세워 여호와의 성전 공사를 감독하게 하매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에 이른 지 이 년 둘째 달에' 이 구절로 인해 포로귀환 2년 2개월 만에로 잘못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이스라엘로 귀환한 때가 7월이었고 그 다음해 2월에 성전 공사를 시작했으니 귀환한지 6개월 만에 공사를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면 6개월 기간 동안 왜 머뭇거렸느냐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 우기기간에는 공사가 불가능하기에 우기가 끝나는 2월이 되자마자 공사를 시작했다는 말은 이들이 하나님의 성전 건축에 조금의 지체함이 없었음을 보여줍니다.
9 이에 예수아와 그의 아들들과 그의 형제들과 갓미엘과 그의 아들들과 유다 자손과 헤나닷 자손과 그의 형제 레위 사람들이 일제히 일어나 하나님의 성전 일꾼들을 감독하니라
여기서 또 '일제히' 가 나옵니다.
'즉시' 와 '일제히' 의 원칙이 예배 뿐만 아니라 성전건축에도 그대로 적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배를 드리는 자세가 삶이 자세요 그 사람의 인생 전반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생이 꼬였다면 분명히 예배가 막혀있을 것입니다.
인생이 지지부진하다면 분명히 예배가 그저 그럴 것입니다.
예배의 자세를 다시 회복한다면 인생의 회복은 당연히 따라 올 것입니다.
10 건축자가 여호와의 성전의 기초를 놓을 때에 제사장들은 예복을 입고 나팔을 들고 아삽 자손 레위 사람들은 제금을 들고 서서 이스라엘 왕 다윗의 규례대로 여호와를 찬송하되
11 찬양으로 화답하며 여호와께 감사하여 이르되 주는 지극히 선하시므로 그의 인자하심이 이스라엘에게 영원하시도다 하니 모든 백성이 여호와의 성전 기초가 놓임을 보고 여호와를 찬송하며 큰 소리로 즐거이 부르며
성전 건축과 일반건축의 차이는 별반 다를 것이 없어보이지만 그 출발이 다릅니다.
세상 사람들은 기초를 세울 때 돼지코구멍에 돈을 꽃고 막걸리는 뿌리며 공사의 안전과 건물의 내구성을 기원합니다.
그러나 성전 건축은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립니다.
세상 사람들은 무너질까 두려워하지만 하나님의 백성들은 감사와 기쁨으로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12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나이 많은 족장들은 첫 성전을 보았으므로 이제 이 성전의 기초가 놓임을 보고 대성통곡하였으나 여러 사람은 기쁨으로 크게 함성을 지르니
모든 사람들이 기쁨으로 찬양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포고 귀환자들 중 솔로몬이 지은 성전이 파괴되기 전을 보고 살아남은 자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스룹바벨과 포로귀환자들이 놓은 성전의 기초가 이전 솔로몬의 성전의 기초에 비해 너무나 초라하고 보잘 것 없기에 대성통곡하였습니다.
13 백성이 크게 외치는 소리가 멀리 들리므로 즐거이 부르는 소리와 통곡하는 소리를 백성들이 분간하지 못하였더라
그러나 솔로몬의 성전을 본 적이 없는 젊은 세대들은 그들의 통곡을 전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솔로몬 성전 세대들은 예배에 실패하였기에 나라를 잃고 그들이 자랑하던 성전마저 잃었습니다.
성공한 인생이 되려면 성공한 예배를 드리면 됩니다.
너무나 간단한 인생의 원리입니다.
'즉시' 그리고 '일제히' 그리고 '말씀대로' 예배드릴 때 하나님께서 우리를 도우시고 형통케하시고 구원하십니다. 아멘.
1 이스라엘 자손이 각자의 성읍에 살았더니 일곱째 달에 이르러 일제히 예루살렘에 모인지라
2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그의 형제 제사장들과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과 그의 형제들이 다 일어나 이스라엘 하나님의 제단을 만들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 대로 번제를 그 위에서 드리려 할새
3 무리가 모든 나라 백성을 두려워하여 제단을 그 터에 세우고 그 위에서 아침 저녁으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며
4 기록된 규례대로 초막절을 지켜 번제를 매일 정수대로 날마다 드리고
5 그 후에는 항상 드리는 번제와 초하루와 여호와의 모든 거룩한 절기의 번제와 사람이 여호와께 기쁘게 드리는 예물을 드리되
6 일곱째 달 초하루부터 비로소 여호와께 번제를 드렸으나 그 때에 여호와의 성전 지대는 미처 놓지 못한지라
7 이에 석수와 목수에게 돈을 주고 또 시돈 사람과 두로 사람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기름을 주고 바사 왕 고레스의 명령대로 백향목을 레바논에서 욥바 해변까지 운송하게 하였더라
1 이스라엘 자손이 각자의 성읍에 살았더니 일곱째 달에 이르러 일제히 예루살렘에 모인지라
포로생활을 마치고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이 돌아온지 7개월 후에야 예루살렘에 모인 것으로 착각하게 본문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실은 일곱째 달, 양력으로 대략 10월로서 초막절을 앞두고 귀환을 마치고 예루살렘으로 모인 것입니다.
이스라엘에 도착하고서 7개월 동안 미적거린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 번역입니다.
7월 즈음에 도착하자마자 초막절을 위해 바로 예루살렘에 모였던 것입니다.
2천 킬로미터의 길고도 고된 귀환여정을 마치자 마자 초막절을 위해 예루살렘으로 모인 이스라엘 백성들의 열정을 한 번더 증명해주는 단어가 1절의 '일제히' 입니다.
'즉시' 와 '일제히' 로 요약되는 이들의 예배를 향한 열정을 보면서 우리의 예배를 향한 자세를 돌아봐야 할 것입니다.
'가장 먼저' 와 '일제히'는 예배를 향한 우리의 마음의 자세를 보여줍니다.
예배를 삶의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두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단기간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쌓이고 쌓인 후에는 반드시 드러나게 되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진심을 보십니다.
마지못해 드리는 예배와 '가장 먼저' 와 '일제히' 드리는 예배 중에서 어떤 예배를 받으실지 물어볼 필요도 없습니다.
두 번째로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예배는 '말씀대로' 드리는 예배입니다.
2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그의 형제 제사장들과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과 그의 형제들이 다 일어나 이스라엘 하나님의 제단을 만들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 대로 번제를 그 위에서 드리려 할새
'하나님의 사람 모세의 율법에 기록한 대로' 번제를 드릴 때 하나님께서는 그 예배를 받아주십니다.
예배는 하나님을 향한 진심의 표현임과 동시에 '순종'의 표현입니다.
예배를 하나님의 말씀대로 드리는 사람은 삶도 하나님의 말씀대로 삽니다.
3 무리가 모든 나라 백성을 두려워하여 제단을 그 터에 세우고 그 위에서 아침 저녁으로 여호와께 번제를 드리며
3절의 문맥에 맞는 번역은 무리가 모든 나라 백성들 두려워하여가 아니라 두려워했지만 입니다.
이들이 이스라엘에 도착했을 때 이스라엘에는 이미 여러 나라 백성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습니다.
70년 만에 돌아온 고향 땅이지만 그 사이에 다른 나라 백성들이 자리를 잡아 주인행세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에 자리잡은 이방인들은 페르시아 고레스 왕의 귀환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건들지말라는 명령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지켜보고는 있지만 이 두 집단 사이의 갈등은 언젠가는 터지고마는 시한폭탄이 되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예배드리는 것 자체가 주변 이방인들과 갈등의 소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들과 타협하지 않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예배드렸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예배드리는 사람이 하나님의 말씀대로 산다고 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산다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본문의 이방세력의 반대처럼 하나님의 말씀을 순종하며 산다는 것은 돈을 숭배하는 사람들과 쾌락의 노예들과 반드시 갈등이 일어나게 됩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산다는 것은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아무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말씀대로 사는 사람을 하나님께서 반드시 축복하십니다.
1차 포로귀환자들의 이러한 믿음을 통해 하나님께서는 예루살렘 성전의 건축을 허락하셨습니다.
6 일곱째 달 초하루부터 비로소 여호와께 번제를 드렸으나 그 때에 여호와의 성전 지대는 미처 놓지 못한지라
번제단은 만들었지만 아직 성전은 고사하고 성전 지대, 즉 성전의 기초조차 놓지 못한 상태였습니다.
7 이에 석수와 목수에게 돈을 주고 또 시돈 사람과 두로 사람에게 먹을 것과 마실 것과 기름을 주고 바사 왕 고레스의 명령대로 백향목을 레바논에서 욥바 해변까지 운송하게 하였더라
하나님께서는 페르시아 고레스 왕을 통해 레바논의 백향목을 공수하여 성전 건축을 시작하게 하셨습니다.
8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에 이른 지 이 년 둘째 달에 스알디엘의 아들 스룹바벨과 요사닥의 아들 예수아와 다른 형제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무릇 사로잡혔다가 예루살렘에 돌아온 자들이 공사를 시작하고 이십 세 이상의 레위 사람들을 세워 여호와의 성전 공사를 감독하게 하매
'예루살렘에 있는 하나님의 성전에 이른 지 이 년 둘째 달에' 이 구절로 인해 포로귀환 2년 2개월 만에로 잘못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이스라엘로 귀환한 때가 7월이었고 그 다음해 2월에 성전 공사를 시작했으니 귀환한지 6개월 만에 공사를 시작한 것입니다.
그러면 6개월 기간 동안 왜 머뭇거렸느냐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 우기기간에는 공사가 불가능하기에 우기가 끝나는 2월이 되자마자 공사를 시작했다는 말은 이들이 하나님의 성전 건축에 조금의 지체함이 없었음을 보여줍니다.
9 이에 예수아와 그의 아들들과 그의 형제들과 갓미엘과 그의 아들들과 유다 자손과 헤나닷 자손과 그의 형제 레위 사람들이 일제히 일어나 하나님의 성전 일꾼들을 감독하니라
여기서 또 '일제히' 가 나옵니다.
'즉시' 와 '일제히' 의 원칙이 예배 뿐만 아니라 성전건축에도 그대로 적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예배를 드리는 자세가 삶이 자세요 그 사람의 인생 전반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생이 꼬였다면 분명히 예배가 막혀있을 것입니다.
인생이 지지부진하다면 분명히 예배가 그저 그럴 것입니다.
예배의 자세를 다시 회복한다면 인생의 회복은 당연히 따라 올 것입니다.
10 건축자가 여호와의 성전의 기초를 놓을 때에 제사장들은 예복을 입고 나팔을 들고 아삽 자손 레위 사람들은 제금을 들고 서서 이스라엘 왕 다윗의 규례대로 여호와를 찬송하되
11 찬양으로 화답하며 여호와께 감사하여 이르되 주는 지극히 선하시므로 그의 인자하심이 이스라엘에게 영원하시도다 하니 모든 백성이 여호와의 성전 기초가 놓임을 보고 여호와를 찬송하며 큰 소리로 즐거이 부르며
성전 건축과 일반건축의 차이는 별반 다를 것이 없어보이지만 그 출발이 다릅니다.
세상 사람들은 기초를 세울 때 돼지코구멍에 돈을 꽃고 막걸리는 뿌리며 공사의 안전과 건물의 내구성을 기원합니다.
그러나 성전 건축은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립니다.
세상 사람들은 무너질까 두려워하지만 하나님의 백성들은 감사와 기쁨으로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12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나이 많은 족장들은 첫 성전을 보았으므로 이제 이 성전의 기초가 놓임을 보고 대성통곡하였으나 여러 사람은 기쁨으로 크게 함성을 지르니
모든 사람들이 기쁨으로 찬양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포고 귀환자들 중 솔로몬이 지은 성전이 파괴되기 전을 보고 살아남은 자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스룹바벨과 포로귀환자들이 놓은 성전의 기초가 이전 솔로몬의 성전의 기초에 비해 너무나 초라하고 보잘 것 없기에 대성통곡하였습니다.
13 백성이 크게 외치는 소리가 멀리 들리므로 즐거이 부르는 소리와 통곡하는 소리를 백성들이 분간하지 못하였더라
그러나 솔로몬의 성전을 본 적이 없는 젊은 세대들은 그들의 통곡을 전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솔로몬 성전 세대들은 예배에 실패하였기에 나라를 잃고 그들이 자랑하던 성전마저 잃었습니다.
성공한 인생이 되려면 성공한 예배를 드리면 됩니다.
너무나 간단한 인생의 원리입니다.
'즉시' 그리고 '일제히' 그리고 '말씀대로' 예배드릴 때 하나님께서 우리를 도우시고 형통케하시고 구원하십니다.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